FC 민스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C 민스크는 2006년 벨라루스 1부 리그의 FC 스메나 민스크를 기반으로 창단된 벨라루스의 축구 클럽이다. 2007년 벨라루스 1부 리그에서 우승하여 벨라루스 프리미어 리그로 승격했지만, 강등된 후 이듬해 다시 승격하여 현재까지 프리미어 리그에 잔류하고 있다. 2010년에는 3위를 기록하여 UEFA 유로파리그에 진출했으며, 2012-13 시즌에는 벨라루스 컵에서 우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벨라루스 축구에 관한 - 벨라루스 프리미어리그
1992년 벨라루스 독립 후 창설된 벨라루스 프리미어리그는 디나모 민스크가 초창기를 주도했으나 BATE 보리소프의 장기 집권 후 2020년 코로나19 범유행 중 리그를 진행하여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 - 벨라루스 축구에 관한 - FC 바테 보리소프
FC 바테 보리소프는 벨라루스 보리소프를 연고로 1973년 창단, 1996년 재창단되어 벨라루스 프리미어리그 최다 우승 및 벨라루스 컵, 슈퍼컵 우승을 기록하고 UEFA 챔피언스리그 조별 리그에 진출한 벨라루스 프로 축구 클럽이다. - 벨라루스 프리미어리그 구단 - FC 슬루츠크
FC 슬루츠크는 1998년 창단되어 민스크주 리그에 참가하다가 2013년 벨라루스 퍼스트 리그 우승으로 프리미어 리그에 승격한 벨라루스의 축구 클럽이며, 2020년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세계적인 관심을 받았다. - 벨라루스 프리미어리그 구단 - FC 디나모 민스크
FC 디나모 민스크는 1927년 창단되어 소련 챔피언십 우승과 벨라루스 프리미어 리그에서 여러 차례 우승을 차지한 벨라루스 수도 민스크 연고의 프로 축구 클럽으로, 트락토르 스타디움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며 FC BATE 보리소프와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 2006년 설립된 축구단 - 부산교통공사 축구단
부산교통공사 축구단은 2006년에 창단되어 내셔널리그에서 활동했으며, 전국체육대회 우승과 내셔널리그 챔피언십 우승을 차지하고 K3리그에도 참가했다. - 2006년 설립된 축구단 - 하노이 FC
하노이 FC는 2006년 창단되어 V리그1에서 6회 우승한 하노이 연고의 프로 축구 클럽으로, 항더이 경기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며 2023-24 시즌 AFC 챔피언스리그에 첫 출전했다.
| FC 민스크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풀 네임 | Football Club Minsk |
| 별칭 | 해당 사항 없음 |
| 창단 | 2006년 |
| 홈구장 | FC 민스크 경기장 민스크, 벨라루스 |
| 수용 인원 | 3,000명 |
| 회장 | 이고르 슐로이드 |
| 감독 | 아르툠 첼랴진스키 |
| 리그 | 벨라루스 프리미어리그 |
| 시즌 | 2024 |
| 현재 순위 | 벨라루스 프리미어리그 13위 (15개 팀 중) |
| 웹사이트 | FC 민스크 공식 웹사이트 |
| 유니폼 정보 | |
| 홈 유니폼 | 빨간색 |
| 어웨이 유니폼 | 흰색 |
| 원어 표기 | |
| 벨라루스어 | Футбольны Клуб «Мінск» |
| 영어 | FC Minsk |
| 축구 클럽 정보 | |
| 한국어 정보 | |
| 감독 | 안드레이 피쉬닉 |
| 시즌 | 2022 |
| 순위 | 벨라루스 프리미어리그 6위 |
2. 역사
FC 민스크는 2006년 벨라루스 1부 리그의 스메나 민스크를 기반으로 창단되었다.[1] 스메나의 라이선스를 인수하여 벨라루스 2부 리그를 거치지 않고 바로 벨라루스 1부 리그에서 활동할 수 있었다.
2010년 3위를 기록하며 클럽 역사상 처음으로 UEFA 유로파리그 2011-12 출전권을 획득했다. 2011 시즌 벨라루스 컵 결승에 진출했지만, FC 나프탄 나바폴라츠크에 승부차기로 패했다. 2012 시즌 벨라루스 컵 결승에서 FC 디나모 민스크를 꺾고 첫 우승을 달성했다. UEFA 유로파리그 2013-14에서는 플레이오프에서 스탕다르 리에주에 패해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2. 1. 창단과 초기 (2006-2008)
FC 민스크는 2006년 벨라루스 1부 리그의 스메나 민스크를 기반으로 창단되었다.[1] FC 민스크는 스메나의 라이선스를 인수하여 벨라루스 2부 리그를 거치지 않고 바로 벨라루스 1부 리그에서 활동할 수 있었다.[1]3부 리그에서 FC 민스크는 1부 리그 창단 시즌에 1위를 차지하며 벨라루스 프리미어 리그로 승격했다.[1]
최상위 리그 데뷔 시즌인 2007년 FC 민스크는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강등되었지만, 이듬해 벨라루스 1부 리그에서 72골을 기록하고 26경기 중 3경기에서만 승리하지 못하는 압도적인 경기력을 보이며 바로 반등에 성공했다.[1] 그 결과 2008년에 다시 한번 벨라루스 프리미어 리그에서 경쟁하게 되었고, 이후로 계속 그 리그에 머물고 있다.[1]
2. 2. 프리미어 리그 정착과 유럽 대회 진출 (2009-현재)
FC 민스크는 2008년 벨라루스 1부 리그에서 압도적인 성적을 거두며 벨라루스 프리미어 리그로 승격된 후, 현재까지 프리미어 리그에 잔류하고 있다.[1] 2010년 리그 3위를 기록하며 2011-12 UEFA 유로파 리그에 진출, 클럽 역사상 최초로 유럽 대회에 참가하게 되었다.[1]2011-12 UEFA 유로파 리그 1차 예선에서 아제르바이잔의 AZAL 바쿠를 합계 3-2로 꺾고, 2차 예선에서 터키의 가지안테프스포르를 만났으나 합계 2-5로 패배했다.[1]
2013년, FC 민스크는 현재의 클럽 문장으로 변경했다.[1] 같은 해 벨라루스 컵에서 우승하며 2013-14 UEFA 유로파 리그 2차 예선 진출권을 획득했다.[1] 2013-14 UEFA 유로파 리그에서는 몰타의 발레타를 합계 3-1로, 스코틀랜드의 세인트 존스톤을 승부차기 끝에 꺾고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벨기에의 스탕다르 리에주에 합계 1-5로 패하며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1]
2. 3. 클럽 문장
FC 민스크는 2006년 창단 당시 2013년까지 7년 동안 단순한 흰색과 파란색 문장을 사용하였다. 2013년에 현재의 빨간색과 짙은 파란색 문장으로 변경했다.[1]
3. 역대 성적
FC 민스크는 벨라루스 프리미어리그에서 2010년에 3위를 기록했고, 벨라루스컵에서는 2013년에 우승, 2012년에 준우승을 차지했다. UEFA 유로파리그에는 총 10경기에 출전하여 3승 3무 4패, 10득점 14실점을 기록했다.
3. 1. 리그 및 컵 대회
FC 민스크는 벨라루스 프리미어리그에서 2010년에 3위를 기록했으며, 벨라루스컵에서는 2013년에 우승, 2012년에 준우승을 차지했다.| 시즌 | 레벨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국내 컵 | 비고 |
|---|---|---|---|---|---|---|---|---|---|---|---|
| 2006 | 2부 | 1 | 26 | 17 | 5 | 4 | 44–13 | 56 | 승격 | ||
| 2007 | 1부 | 14 | 26 | 4 | 9 | 13 | 18–34 | 21 | 준결승 | 강등 | |
| 2008 | 2부 | 1 | 26 | 23 | 2 | 1 | 72–11 | 71 | 16강 | 승격 | |
| 2009 | 1부 | 9 | 26 | 11 | 3 | 12 | 33–26 | 36 | 16강 | ||
| 2010 | 1부 | 3 | 33 | 18 | 6 | 9 | 59–32 | 60 | 16강 | ||
| 2011 | 1부 | 9 | 33 | 8 | 11 | 14 | 33–40 | 35 | 8강 | ||
| 2012 | 1부 | 6 | 30 | 11 | 6 | 13 | 36–46 | 39 | 준우승 | ||
| 2013 | 1부 | 9 | 32 | 10 | 8 | 14 | 36–40 | 38 | 우승 | ||
| 2014 | 1부 | 7 | 32 | 16 | 4 | 12 | 45–36 | 52 | 준결승 | ||
| 2015 | 1부 | 6 | 26 | 12 | 4 | 10 | 29–28 | 40 | 32강 | ||
| 2016 | 1부 | 4 | 30 | 15 | 8 | 7 | 49–24 | 53 | 준결승 | ||
| 2017 | 1부 | 14 | 30 | 3 | 14 | 13 | 19–39 | 23 | 8강 | ||
| 2018 | 1부 | 11 | 30 | 7 | 9 | 14 | 34–42 | 30 | 16강 | ||
| 2019 | 1부 | 9 | 30 | 9 | 9 | 12 | 36–44 | 36 | 16강 | ||
| 2020 | 1부 | 11 | 30 | 11 | 5 | 14 | 45–57 | 38 | 16강 | ||
| 2021 | 1부 | 12 | 30 | 8 | 9 | 13 | 32–52 | 33 | 8강 | ||
| 2022 | 1부 | 6 | 30 | 12 | 8 | 10 | 47-43 | 44 | 3라운드 | ||
| 2023 | 1부 | 9 | 28 | 8 | 9 | 11 | 33 | 16강 |
3. 2. 유럽 대회 기록
| 시즌 | 대회 | 라운드 | 클럽 | 1차전 | 2차전 | 합계 |
|---|---|---|---|---|---|---|
| 2011-12 | UEFA 유로파리그 | 1차 예선 | AZAL 바쿠 | 1-1 | 2-1 | 3-2 |
| 2차 예선 | 가지안테프스포르 | 1-1 | 1-4 | 2-5 | ||
| 2013-14 | UEFA 유로파리그 | 2차 예선 | 발레타 FC | 1-1 | 2-0 | 3-1 |
| 3차 예선 | 세인트 존스톤 FC | 0-1 | 1-0 (연장전) | 1-1 (승부차기 3-2) | ||
| 플레이오프 | 스탕다르 리에주 | 0-2 | 1-3 | 1-5 |
'''참고:''' 홈 경기 결과는 '''굵게''' 표시되어 있다.
| 대회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 UEFA 유로파 리그 | 10 | 3 | 3 | 4 | 10 | 14 |
4. 선수 명단
4. 1. 현재 선수
| 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 10 | MF | 세멘 펜추크 | Сямён Пянчук|세묜 퍈추크be |
| 71 | MF | 무스타파 지메트 | Moustapha Djimé|무스타파 지메프랑스어 |
| 77 | MF | 예브게니 말라셰비치 | Яўген Малашэвіч|야우헨 말라셰비치be |
5. 역대 감독
| 감독 | 임기 |
|---|---|
| Сяргей Яромка|세르게이 야롬코be | 2006년 2월 23일 ~ 2009년 10월 8일 |
| Віталь Тараканаў|비탈리 타라카노프be | 2009년 10월 8일 ~ 2011년 10월 4일 |
| Андрэй Доўнар|안드레이 도우나르be (임시) | 2011년 10월 5일 ~ 2011년 12월 12일 |
| Вадзім Скрыпчанка|바딤 스크리프첸코be | 2011년 12월 30일 ~ 2013년 10월 12일 |
| Андрэй Скорабагацька|안드레이 스코로보가트코be (임시) | 2013년 10월 13일 ~ 2013년 12월 2일 |
| Андрэй Скорабагацька|안드레이 스코로보가트코be | 2013년 12월 3일 ~ 2014년 6월 3일 |
| Андрэй Пышнік|안드레이 피슈니크be | 2014년 6월 3일 ~ |
6. 기타
FC 민스크 여자팀은 벨라루스 프리미어 리그와 벨라루스 여자컵에서 여러 차례 우승했다.
6. 1. 여자 축구팀
FC 민스크 여자팀은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에 벨라루스 프리미어 리그에서 우승했고, 2011년, 2013년, 2014년에 벨라루스 여자컵에서 우승했다.참조
[1]
웹사이트
Футбольный клуб "Минск" – Основой состав
https://fcminsk.by/o[...]
[2]
웹사이트
FK Minsk women trophies
https://int.soccerwa[...]
soccerway.com
2014-05-14
[3]
웹사이트
Naftan win second Belarusian Cup
http://www.uefa.com/[...]
UEFA.com
2012-05-20
[4]
웹사이트
Minsk lift maiden Belarusian Cup
http://www.uefa.com/[...]
UEFA.com
2013-05-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